엑셀

엑셀 날짜 서식 변경

드림 시그널 2025. 8. 15. 10:22

엑셀 날짜 서식 변경

엑셀 날짜 서식의 정의와 날짜 서식 변경이 필요한 이유

엑셀 날짜 서식의 정의

날짜라는 건 사실 숫자예요

엑셀에서는 날짜를 1900년 1월 1일 이후로 지난 일수로 셀 안에 저장해요. 예를 들어, 2024년 5월 5일은 엑셀 안에서는 45416이라는 숫자로 저장된답니다.
이 숫자에 날짜 서식만 씌우면, 우리 눈에는 “2024‑05‑05”처럼 날짜로 보이는 거예요.
만약 셀 서식이 “일반”이나 “숫자”로 지정되어 있다면, 45416이 그대로 화면에 나와서 이상하게 느껴질 수 있어요.
→ 그래서 날짜 서식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해요 .

 

날짜 서식이란?

  • 표시 형식이에요. “yyyy‑mm‑dd”, “m/d/yyyy”, “월 일 표시”처럼 우리가 눈으로 보기 좋은 형태로 바꿔주는 거예요.
  • 원하는 형태가 목록에 없다면, 사용자 지정 서식을 통해 “yyyy년 m월 d일 (aaa)”처럼 자유롭게 만들 수도 있어요 .

날짜 서식 변경이 필요한 이유

숫자로 표시되는 문제가 생겨요

날짜 형식을 지정하지 않으면, 셀에 45416처럼 이상한 숫자가 나타날 수 있어요. 날짜처럼 보이려면 반드시 날짜 서식을 적용해야 해요.
홈 탭에서 날짜 서식을 선택하거나, “셀 서식” 창에 들어가서 [날짜] 또는 [사용자 지정]으로 바꿔주면 돼요 .

입력한 데이터가 자동으로 날짜로 변환돼요

엑셀은 입력된 값을 분석해서 날짜처럼 보이는 패턴(예: “1/2”나 “10‑11”)을 자동으로 날짜로 바꿀 때가 있어요.
이게 때론 편하지만, “전화번호처럼 처리해야 할 데이터”가 날짜로 바뀌면 곤란하죠.
그래서 입력 전에 셀 서식을 텍스트로 지정하거나, 입력값 앞에 작은따옴표(')를 붙이는 방법을 써요 .

입력한 게 “텍스트처럼 보이게”도 하고 엑셀이 자동으로 날짜로 바꾸지 못하게 하려면, 꼭 이 방법을 기억하세요.

 



기본 날짜 서식 이해하기

엑셀의 기본 날짜 형식

엑셀에서는 날짜를 입력한 뒤, [홈] 탭의 ‘표시 형식’ 메뉴에서 '짧은 날짜' 혹은 '긴 날짜' 같은 기본 형식을 쉽게 선택할 수 있어요 .
또는 Ctrl + Shift + 를 누르면 기본 날짜 서식이 자동으로 적용되기도 해요 .

이 기본 형식은 운영체제(예: Windows)의 제어판에서 설정된 국가 또는 지역의 날짜 형식을 따르는 경우도 있고, 별표()로 표시된 형식은 해당 지역 설정에 따라 자동 반영될 수 있어요 .
예를 들어, “4/9”처럼 입력하면 “04월 09일” 또는 “2024‑04‑09”처럼 표시되는데, 이건 컴퓨터 설정에 따라 달라지는 거예요 .

 

날짜와 텍스트의 차이

엑셀에서 날짜는 사실 정수 형태의 숫자로 저장돼요. 예를 들어 2024년 1월 1일은 '44562' 같은 숫자로 저장되고, 서식이 '날짜'로 지정되어 있기에 사람 눈에 날짜처럼 보이는 거예요 .

하지만, 셀 서식을 텍스트로 지정하면, “2025‑01‑01” 같은 입력이 그냥 텍스트로 취급되어서 날짜처럼 계산이 안 돼요.
텍스트로 처리된 날짜는 계산하거나 날짜 차이를 구할 수 없어서, 엑셀이 날짜로 인식하도록 하려면 DATEVALUE 함수1을 곱하는 수법 등을 써야 해요 .

또한, 날짜처럼 보이는 입력 값이 있을 때 엑셀이 자동으로 날짜로 바꿔주기도 하는데, 이게 원치 않을 때도 있죠. 그런 경우에는 서식을 텍스트로 미리 지정하거나 입력 시 따옴표(')를 앞에 붙이기도 해요 (물론 이 부분은 앞에서 설명드린 ‘날짜 서식 변경의 필요성’에 포함되는 내용이었어요).

 

 

날짜 서식 변경 방법

셀 서식 대화상자 이용

엑셀에서 날짜 모양을 바꾸고 싶다면, 셀 서식 대화상자를 이용하는 게 가장 기본이에요.

절차는 이래요:

  • 날짜가 들어 있는 셀을 선택하세요.
  • 키보드로 Ctrl + 1을 누르면 ‘셀 서식’ 대화상자가 열려요.
  • ‘셀 서식’ 창에서 “표시 형식” 또는 “숫자(Number)” 탭을 고르고, 범주(Category)에서 ‘날짜(Date)’를 선택해요.
  • 원하는 날짜 형태를 ‘유형(Type)’ 목록에서 골라서 확인(OK) 버튼을 누르면 끝!

응용 팁!

  • 기본에 없는 형태로 바꾸고 싶다면: ‘사용자 지정(Custom)’을 선택해서 날짜 형식을 직접 코드로 설정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yyyy‑mm‑dd”처럼요.
  • 미리 보기(Sample) 창에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서 편해요.

단축키로 날짜 서식 변경하기

마우스 없이도 후다닥 날짜 서식 바꾸고 싶다면, 단축키가 짱 편해요!

유용한 단축키들:

  • Ctrl + Shift + : 시스템 기본 ‘짧은 날짜’ 서식 적용 (예: 2025‑08‑15)
  • Ctrl + Shift + @: 시간 서식 빠르게 적용 (시:분, AM/PM)
  • Ctrl + 1: 셀 서식 대화상자 열기
  • Alt + H → 4: ‘짧은 날짜(Short Date)’ 직접 적용
  • Alt + H → 5: ‘긴 날짜(Long Date)’ 서식 바로 적용
  • 기타 유용한 단축키:
    • Ctrl + Shift + !: 숫자 서식 적용
    • Ctrl + Shift + %: 백분율 서식 적용 등

정리된 구조

방법설명
셀 서식 대화상자 (Ctrl + 1) 날짜 서식을 직접 고르고, 필요하면 사용자 지정도 가능
빠른 단축키 Ctrl + Shift + (짧은 날짜), Alt + H → 4 (짧은 날짜), Alt + H → 5 (긴 날짜) 등으로 빠르게 변경
응용 팁 사용자 지정 서식을 활용하면 더 다양한 형식도 가능

사용자 지정 날짜 서식

엑셀에서 기본 날짜 모양들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때, 내가 원하는 대로 직접 만드는 재미가 있어요! 아래에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사용자 지정 서식 코드 이해

엑셀에서 직접 날짜 서식을 만들 때 사용하는 코드는 이렇게 나뉘어요:

  • m : 1–12 (월 숫자)
  • mm : 01–12 (두 자리 월)
  • mmm : Jan–Dec (약어 월)
  • mmmm : January–December (풀네임 월)
  • mmmmm : 한 글자로 월 표시 (예: J)
  • d : 1–31 (일 숫자)
  • dd : 01–31 (두 자리 일)
  • ddd : Mon–Sun (요일 약어)
  • dddd : Monday–Sunday (요일 풀네임)
  • yy : 00–99 (년도 두 자리)
  • yyyy : 1900–9999 (년도 네 자리)

이렇게 조합해서 원하는 날짜 형태를 만들 수 있어요!

예시

  • "yyyy-mm-dd" → 2025‑08‑15
  • "mmm d, yyyy" → Aug 15, 2025
  • "mm/dd/yy" → 08/15/25

연·월·일 표시 순서 변경

순서를 바꾸고 싶을 때는 코드 순서를 자유롭게 바꾸면 돼요. 예를 들어:

  • "dd/mm/yyyy" → 15/08/2025
  • "yyyy mm dd" → 2025 08 15
  • "dddd, mmmm d, yyyy" → Friday, August 15, 2025

순서를 바꾸는 것만으로도 느낌이 확 달라지죠!

요일 추가 표시 방법

날짜에 요일까지 함께 나타내고 싶다면, ddd 또는 dddd를 넣으면 됩니다:

  • "dddd" → Friday (요일 풀네임)
  • "ddd" → Fri (요일 약어)

예를 들어 "dddd, mmmm d, yyyy"를 사용하면 "Friday, August 15, 2025"처럼 표시돼요 .

스택오버플로우에서도 "dddd MMMM MM yyyy"처럼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고 알려주고 있어요, 예를 들어 "Wednesday December 14 2011" 같은 형식요 .

 



다양한 날짜 표시 예시

다음은 엑셀에서 사용자 지정 날짜 서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여러 표현 방식들이에요. 각 형태마다 어떤 코드 조합이 쓰이는지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

“2025-08-15” 형태

이 형식은 연도-월-일을 숫자로 깔끔하게 나타내는 서식이에요. 코드는 이렇게 쓰면 됩니다:

  • yyyy‑mm‑dd → 2025‑08‑15
    여기서 yyyy는 네 자리 연도, mm은 두 자리 월, dd는 두 자리 일을 의미해요 .

“2025년 8월 15일” 형태

한국식 표현을 그대로 따라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방식이에요. 엑셀에선 "년", "월", "일" 문자를 그대로 넣으면 되고, 서식은 이렇게 설정하면 돼요:

  • yyyy"년 "m"월 "d"일"
    이렇게 하면 “2025년 8월 15일”처럼 나타납니다. 단, 한국어 형식을 기본으로 지원하는 경우도 있는데, 예를 들어 yyyy년 M월 d일 같은 형식도 사용할 수 있어요 .
    한국에서는 “YYYY년 M월 D일” 식으로 날짜를 적는 게 일반적이며, “YYYY-MM-DD” 방식도 ISO‑8601 형식으로 널리 쓰여요 .

“8/15(금)” 형태

월/일 형식에 요일을 함께 표시하고 싶을 때 아주 유용해요. 코드는 이렇게 조합할 수 있어요:

  • m/d(ddd) → 8/15(Fri)
  • 한국어로 요일 약어까지 표현하고 싶다면: m/d(aaa) → 8/15(금)
    여기서 m은 월, d는 일, ddd는 영어 요일 약어, aaa는 한국어 요일 약어(금, 토 등) 형태로 보여주는 코드예요 .

 

날짜 서식 변경 시 주의사항

엑셀에서 날짜 서식을 바꿀 때, 생각보다 골치 아픈 문제들이 숨어 있어요. 특히 날짜가 “텍스트로 인식되는 경우”와 “지역에 따른 날짜 형식 차이”는 꼭 주의해야 할 부분이에요. 하나하나 차근차근 설명드릴게요!

날짜 데이터가 텍스트로 인식될 때

언제 그런 일이 생기냐면요

  • 데이터를 다른 시스템에서 복사해 왔을 때, 엑셀이 날짜를 숫자로 인식하지 못하고 텍스트로 처리할 수 있어요. 이럴 땐 날짜 계산이나 정렬이 제대로 되지 않죠.
    예를 들어, =ISTEXT(A10) 함수를 사용하면 해당 셀이 텍스트로 인식되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TRUE가 나오면 텍스트라는 뜻이에요.
  • 실수로 입력하거나 처리된 날짜들이 텍스트 형태로 남아 있으면, 실제 날짜처럼 사용할 수 없어서 문제예요.

이럴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데이터 → 텍스트 나누기 기능을 써 보세요. 셀별로 날짜 형식(예: YMD 등)을 지정하면 숫자 형식의 날짜로 깔끔하게 변환할 수 있어요.
  • 또는 간단한 방법으로 1을 곱해보기도 있어요. 텍스트처럼 인식된 날짜가 실제 값으로 바뀔 수 있답니다.

다른 지역의 날짜 형식 차이

왜 문제냐면요

  • 엑셀은 사용자의 컴퓨터 지역 설정을 기준으로 날짜 형식을 인식해요. 예를 들어, 한국식 (yyyy‑mm‑dd 또는 dd/mm/yyyy)과 미국식 (mm/dd/yyyy)의 차이 때문에 날짜가 엉뚱하게 인식될 수 있어요.
  • 특히 CSV 파일을 열거나 외부 데이터를 가져올 때 이런 문제가 자주 발생해요. 날짜가 엑셀이 이해할 수 없는 조합이면 자동으로 잘못 변환될 수 있습니다.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 먼저 시스템의 날짜 형식을 엑셀이 잘 인식할 수 있도록 변경하는 방법이 있어요. 예를 들어 날짜 형식을 dd/mm/yyyy로 쓰는 경우에는 시스템도 그 형식으로 맞춰두면 오류가 줄어들어요.
  • 외부 데이터를 가져올 땐, 데이터 가져오기 시 ‘텍스트 열’로 날짜 데이터를 지정하거나, 나중에 다시 텍스트 → 날짜 방식으로 변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날짜 서식을 활용한 실무 팁

엑셀에서 날짜 서식을 활용하면 보고서가 훨씬 깔끔해지고, 업무 흐름도 정리돼요! 직접 사용 가능한 팁들을 두 가지로 나눠서 알려드릴게요.


보고서에 맞는 날짜 서식 적용

왜 이게 중요한가요?

보고서나 프레젠테이션, 문서마다 요구되는 날짜 형식이 달라요. 어떤 곳은 yyyy‑mm‑dd처럼 국제 표준을, 어떤 곳은 yyyy년 m월 d일 처럼 한국식 표현을 쓰기도 하죠.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요?

절차는 간단해요:

  1. 날짜가 들어있는 셀을 선택하세요.
  2. 셀 서식 대화상자 (Ctrl + 1)를 엽니다.
  3. 표시 형식 → 날짜 탭 또는 사용자 지정(Custom)에 들어가서 필요한 형식을 선택하거나 직접 입력하세요.
    예를 들어:
    • yyyy-mm-dd → 2025‑08‑15
    • yyyy"년 "m"월 "d"일" → 2025년 8월 15일
    • m/d(aaa) → 8/15(금)

엑셀에서는 정말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어요. 보고서의 표지, 헤더, 본문 등 필요한 곳마다 딱 맞춰서 바꿔보세요.


조건부 서식과 함께 사용하기

날짜를 자동으로 강조하면, 데이터가 훨씬 직관적이고 눈에 잘 들어오죠!

엑셀의 기본 조건부 날짜 서식 활용

홈 탭 → 조건부 서식 → 셀 강조 규칙 → '특정 날짜'를 선택하면,
예: “지난 일주일”, “다음 달” 등 날짜 범위에 해당하는 셀을 한 번에 강조할 수 있어요.

날짜 기준 조건부 서식 공식 사용

직접 수식으로 날짜를 비교하면서 서식을 적용할 수도 있어요.

  • 오늘 기준으로 색을 다르게 해보는 식이 일반적입니다:
    • 30일 이내 항목:
      =$A2>=TODAY()-30 (초록)
    • 31~60일 사이:
      =AND($A2<TODAY()-30, $A2>=TODAY()-60) (주황)
    • 60일 이상 지남:
      =$A2<TODAY()-60 (빨강)

실무 활용 팁

  • 기한 임박 항목 강조하기 (3개월 전부터)
    =A1 < TODAY()+90 형식으로 미래 날짜를 미리 체크할 수 있어요.
  • 이번 달부터 다음 달까지 강조하기
    =AND(A1 >= EOMONTH(TODAY(), -1) + 1, A1 <= EOMONTH(TODAY(), 1))
    이 공식은 이번 달 첫날부터 다음 달 마지막일까지 포함해서 강조해줍니다.
  • Reddit 사용자 팁:
  • “Dates are ONLY numbers in disguise… the formula needs to generate TRUE.”
    엑셀에서 날짜는 사실 숫자이기 때문에, 조건부 서식 공식이 TRUE가 나오도록 만들어야 정확하게 동작해요.

 

자주 묻는 질문(FAQ)

날짜가 숫자로만 표시될 때 해결 방법

날짜가 숫자로만 보이는 이유

엑셀에서 날짜는 사실 일련번호 형태의 숫자로 저장돼요. 예를 들어 44562라는 숫자는 2022년 1월 1일을 의미할 수도 있어요. 서식이 일반(General)이나 숫자로 되어 있다면 이렇게 숫자로 보이게 되는 거죠. 날짜처럼 보이게 하려면 날짜 서식을 적용해야 합니다.

해결 방법

  • 셀 서식 변경: 해당 셀을 선택하고 Ctrl + 1을 눌러 “셀 서식” 창을 열고, 날짜 형식을 선택하거나 사용자 지정 서식으로 바꾸면 날짜처럼 표시돼요.
  • 텍스트로 저장된 날짜라면:
    • 오류 표시(노란 삼각형)가 있는 경우, 클릭 후 “20XX로 변환”과 같은 자동 수정 옵션을 사용할 수 있어요.
    • 또는 =DATEVALUE(A1) 함수를 사용해 텍스트를 날짜로 바꿀 수 있어요. 그런 다음 값 복사 → 붙여넣기 → 날짜 서식 적용하면 돼요.

날짜를 글자로 변환하는 방법

날짜를 텍스트로 바꿔야 하는 상황

문장에 “2025‑08‑15”처럼 날짜를 직접 넣고 싶을 때가 있죠? 이럴 때 날짜 데이터를 그대로 텍스트로 바꾸면 더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어요.

활용 방법

  • TEXT 함수 활용:
    =TEXT(A1, "yyyy-mm-dd")처럼 사용하면 날짜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원하는 서식도 적용할 수 있어요.
  • TEXT + TODAY 함수 활용 예시:
    =TEXT(TODAY(), "dd-mmm-yyyy")는 현재 날짜를 지정한 형식의 텍스트로 바꿔 보여줘요.
  • Text to Columns 마법사 활용:
    날짜 셀을 텍스트 형식으로 변환할 수도 있어요. 데이터 → “텍스트 나누기” → 구분자 없음 → 열 서식을 ‘텍스트’로 지정하면 돼요.
  • Notepad를 이용한 변환:
    날짜가 입력된 셀을 복사해서 메모장에 붙였다가 다시 텍스트 형식의 셀에 붙여넣으면, 날짜가 텍스트로 변환돼서 간편해요.

날짜와 시간 함께 표시하는 방법

날짜와 시간을 한 셀에 표시하고 싶다면?

두 값을 합쳐서 하나의 셀에 넣거나, 특별한 서식을 활용할 수 있어요.

방법 1: 단순 더하기

날짜가 있는 셀과 시간 셀을 더하면, 자동으로 날짜와 시간이 함께 표시됩니다.
예: =C4 + D4 → 2022‑12‑31 9:00 AM 같은 형태. 서식을 ‘날짜 및 시간’으로 설정해야 정상 표시돼요.

방법 2: CONCAT과 TEXT 함수 활용

서식을 직접 제어하고 싶다면:

 
=CONCAT(TEXT(C4,"mm/dd/yyyy"), " ", TEXT(D4,"hh:mm AM/PM"))

이렇게 하면 날짜와 시간을 원하는 형식의 텍스트로 합쳐서 보여줍니다.

참고 팁

  • 엑셀에서 날짜/시간은 실제로는 소수부가 시간 정보인 숫자로 계산되며, 서식으로만 표현 방식을 바꿔 보여줘요.
  • VALUE() 함수를 사용하면 텍스트 형태의 날짜와 시간 모두 숫자로 변환할 수 있어요.

 

 

엑셀 if함수 사용법

목차1.IF 함수 개요2.IF 함수 기본 사용법3.중첩 IF 함수 사용법4.IF 함수와 다른 함수의 결합5.IF 함수 활용 예제6.IF 함수 사용 시 주의사항7.IF 함수 대체 함수8.IF 함수 자주 묻는 질문(FAQ)1.IF 함수 개

breez.kimsinfo.info

 

 

 

엑셀 페이지 표시 없애기

목차1.엑셀 페이지 표시란 무엇인가2.페이지 표시가 나타나는 이유3.페이지 표시 없애는 방법 (일반 보기로 전환)4.페이지 나누기 선 제거 방법5.기본 보기 모드 설정하기6.페이지 표시 관련 자주

breez.kimsinfo.inf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