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립보드 저장위치
목차
1. 클립보드란 무엇인가
클립보드는 컴퓨터나 스마트폰 같은 기기에서, 텍스트나 그림, 파일 등을 잠깐 저장해 두는 임시 공간이에요. 예를 들어, 글자를 복사하거나 잘라내기 하면 그 내용이 클립보드에 들어가고, 나중에 붙여넣기할 때 클립보드에 있던 데이터가 불러와지는 거죠. 이렇게 복사/붙여넣기를 통해 다양한 앱 사이에서 쉽게 정보를 옮길 수 있어요.
2. 클립보드 데이터가 저장되는 원리
운영체제 내부 구조 (Windows 기준)
Windows에서는 클립보드의 데이터가 연결 리스트(linked list) 형태로 저장돼요. 이 리스트의 각 항목(노드)에는 다음 내용이 담겨 있어요:
- next: 다음 항목을 가리키는 포인터
- format: 데이터의 형태 (예: 텍스트, 이미지 등)
- handle: 실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
또, 하나 이상의 포맷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기도 해요. 예를 들어, 굵은 서식이 있는 텍스트를 복사하면 RTF 형식으로 저장해 두고, 그것을 못 읽는 앱에 붙이면 일반 텍스트(CF_TEXT)로 내려오는 식이죠.
클립보드 포맷의 종류
- Standard Clipboard Formats: 운영체제에서 기본으로 정해둔 포맷
- Registered Clipboard Formats: 앱이 직접 만든 포맷. 예를 들어, HTML 포맷처럼 특별한 정보를 담고 싶을 때 사용해요.
- Private Clipboard Formats: 생성한 앱만 쓸 수 있는, 비공개 포맷이에요. 다른 앱은 해석할 수 없게 되어 있답니다.
웹 브라우저와 클립보드
웹에서는 보안 문제 때문에 브라우저가 OS 클립보드에 직접 접근하지 못하게 제한해요. 대신 Clipboard API나 ClipboardEvent 같은 도구를 통해 복사나 붙여넣기를 제한된 방식으로만 제어할 수 있어요. 여기에선 setData()와 getData()를 통해 텍스트나 이미지만 다룰 수 있고, 브라우저마다 지원 포맷이 달라요.
2. 윈도우에서의 클립보드 저장 위치
기본 클립보드 저장 방식
윈도우에서 복사(Ctrl+C)하거나 잘라낸 데이터는 하드디스크에 파일로 저장되는 게 아니고, RAM(메모리)에 일시적으로 보관됩니다. 컴퓨터를 껐다 켜면 이 정보는 사라지죠.
즉, 클립보드는 바로 사용하고 버리는 휘발성 공간입니다.
클립보드 히스토리 기능
윈도우 10 이후부터는 클립보드에 복사한 최근 기록을 최대 25개까지 저장해두고, Win + V 키를 눌러 꺼내볼 수 있는 클립보드 히스토리 기능이 생겼어요. 텍스트, 이미지, HTML 등 다양한 형식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설정하려면:
- 설정 → 시스템 → 클립보드로 들어가서 클립보드 기록(Clipboard history)을 켜면 돼요.
- 동시에 장치 간 동기화(sync) 기능을 켜면, 같은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한 다른 PC에서도 복사 기록을 사용할 수 있어요.
- 저장된 기록은 최대 25개, 고정(Pin)한 항목은 재시작 후에도 남아 있고, 재시작하면 나머지는 사라져요.
임시 저장 경로 확인 방법
최근 2025년 8월 기준 정보에 따르면, 클립보드 히스토리를 활성화하면 윈도우는 내부적으로 특정 폴더에 작은 캐시를 만들어서 기록을 보관합니다. 탐색기에서 아래 경로로 확인할 수 있어요:
이 폴더에는 HistoryData 와 Pinned 같은 서브폴더가 있을 수 있고, 히스토리 항목과 고정 항목이 저장되어 있답니다.
이 폴더를 삭제하거나 내용을 비우면, 고정된 항목까지 모두 사라지므로 주의해야 해요.
Win + V로 히스토리 UI를 열어보면, 각 항목 옆의 … 버튼을 눌러서 고정(Pin), 삭제(Delete), 또는 모두 지우기(Clear all) 같은 작업을 할 수 있어요.
3. 맥OS에서의 클립보드 저장 위치
맥 기본 클립보드 동작 방식
맥에서는 클립보드라는 개념 대신 “페이스트보드(pasteboard)”라는 이름을 사용해요. 복사(Cmd+C)한 내용은 pboard (또는 pbs)라는 시스템 프로세스가 메모리 내부에서 관리하고, 별도의 파일에 저장되지 않아요. 즉, 클립보드 정보는 디스크에 흔적을 남기지 않고 메모리 상의 서버 프로세스에서 다룬답니다 .
터미널로 클립보드 확인하기
pbpaste와 pbcopy 사용법
터미널에서는 다음 명령어로 클립보드 내용을 확인하거나 설정할 수 있어요:
- 클립보드 내용을 터미널에 출력하려면:이를 다른 파일로 저장하는 것도 가능해요:
-
pbpaste > 원하는파일.txt ``` :contentReference[oaicite:5]{index=5}
-
pbpaste
- 파일이나 명령어 출력 결과를 클립보드에 복사하려면:또는
-
pbcopy < 파일.txt ``` :contentReference[oaicite:7]{index=7}
-
cat 파일.txt | pbcopy
명령어 자동화 예시
클립보드 내용을 편집하고 싶을 땐, 아래처럼 임시파일을 활용한 함수를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어요:
좀 더 안전하게 쓰려면 pbedit 함수를 ~/.bashrc에 추가하는 방법도 있어요 .
서드파티 앱을 통한 저장 관리
기본 맥OS는 복사 기록을 마지막 한 항목만 유지해요. 이전에 복사한 내용을 다시 보고 싶다면 서드파티 앱을 활용해야 한답니다.
대표적인 앱들:
- Maccy (무료/오픈소스): 검색 기능이 있고 깔끔해요.
- Jumpcut / Flycut (오픈소스): 동작이 단순하고 가벼워요.
- Paste (유료/구독형): 클립보드 기록을 무제한 저장하고, iCloud 동기화 기능도 있어요. 화면에 복사한 항목이 타임라인처럼 표시돼서 찾기 편하고, 저장 기간도 설정할 수 있어요
Alfred Powerpack도 클립보드 기록 기능을 제공하며, 저장 기간 조정, 수색, 자동 완성 기능 등 여러 고급 옵션을 이용할 수 있어요 .
4. 모바일(안드로이드 / 아이폰)에서의 클립보드 저장 위치
안드로이드 기본 클립보드
안드로이드에서는 클립보드가 메모리(RAM)에 임시로 저장되는 공간이에요. 복사한 내용은 파일로 남지 않고, 바로 새로 복사한 내용으로 덮어써집니다.
복사한 다음 붙여넣으려면 텍스트 입력창을 길게 눌러 “붙여넣기”를 선택하면 돼요. 일부 기기에서는 클립보드를 여러 항목으로 저장해 둘 수 있지만, 기본은 최근에 복사한 한 개만 저장된다고 보시면 돼요.
삼성폰 같은 경우에는 자체 키보드에서 클립보드를 지원해요. 키보드 설정 아이콘이나 클립보드 아이콘을 눌러 최근 항목들을 볼 수 있고, “삼성 클립보드”로 복사 내용이 저장된다고 알려진 경우도 있어요.
하지만 일반적으로 저장 위치는 사용자가 열람할 수 없는 RAM 내부로 남아 있고, 루팅하지 않는 한 접근이 불가능합니다.
아이폰 클립보드 특징
아이폰에서는 클립보드를 “페이스트보드(pasteboard)”라고 부르고, 역시 마지막 복사한 항목 한 개만 메모리에 저장돼요. 저장된 내용은 직접 확인하려면, 메모 앱이나 빈 입력창에 “붙여넣기”하는 방법밖에 없어요.
기기를 재시작하거나 새로 복사하면 기존 내용은 사라집니다.
또한, 애플의 Universal Clipboard 기능을 사용하면 같은 애플 ID로 로그인된 Mac, iPad, iPhone 간에 복사한 내용을 일정 시간 공유할 수 있어요. 단, Wi‑Fi, 블루투스, Handoff가 켜져 있어야 하고, 기기들이 가까이 있어야 해요.
앱별 클립보드 접근 차이
안드로이드
기본은 최근 한 항목만 저장하지만, Gboard 같은 키보드 앱을 사용하면 최근 복사 목록을 키보드 내부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또는 Clipper 같은 서드파티 앱을 설치하면, 클립보드 기록을 관리하고, 고정(pin)하거나 편집, 삭제할 수 있어요.
아이폰
iOS는 보안 때문에 클립보드 접근이 매우 제한적입니다. 기본적인 앱은 클립보드 전체 히스토리를 볼 수 없고, 메모 앱에 붙여넣기하거나 Shortcuts 앱을 통한 자동화 등을 이용해야 해요.
예를 들어, Shortcuts 앱에서 “Clipboard” 관련 자동화(예: 클립보드를 노트에 저장)를 만들 수도 있어요.
또한, SwiftKey 같은 서드파티 키보드를 사용하면, 클립보드 내역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어요. 키보드를 전환해 “클립보드” 버튼을 누르면 최근 항목이 나오고, 원하는 것을 저장하거나 편집할 수 있답니다.
즉, iOS에서는 백그라운드에서 자동으로 클립보드를 저장해주는 앱이 잘 작동하지 않아서, 앱을 직접 열어야 클립보드 내용을 확인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아요.
5. 클립보드 관리 프로그램 활용
클립보드 확장 기능 제공 프로그램
클립보드는 기본적으로 복사된 가장 최근 항목 하나만 저장하지만, 클립보드 관리 프로그램은 이 한계를 뛰어넘는 슈퍼 클립보드 역할을 해요. 여러 개의 복사 기록을 저장하고, 편집하거나 불러오는 기능, 태그로 정리하거나 검색하는 기능, 서식과 이미지, 파일 등을 함께 다룰 수 있는 기능 등을 제공해요.
예를 들어, Windows에서는 Ditto라는 도구가 기본 기능보다 훨씬 강력한 클립보드 관리 기능을 제공하고, Ubuntu 또는 Linux 환경에서는 CopyQ가 복사 기록 저장, 검색, 태그 기능까지 갖춰 있고 매우 인기가 많아요.
클립보드 저장 및 검색 기능
다중 저장 & 검색
많은 프로그램들이 과거의 복사된 항목들을 저장해 두고, 언제든 꺼내볼 수 있도록 검색 기능을 제공해요. 예를 들면 Clipboard History Pro는 브라우저 확장 형태로 동작하면서, 무제한 기록 저장, 검색, 즐겨찾기 고정, 텍스트 자동 확장 기능을 갖춰요.
플랫폼별 대표 프로그램
- Windows: Ditto – 기본 클립보드보다 훨씬 더 유연하고 강력한 복사–붙여넣기 관리가 가능
- macOS: Maccy – 깔끔하고 빠른 검색 중심의 복사 기록 관리 앱
- Linux(Ubuntu 등): CopyQ – 복사 기록 저장, 편집, 태그, 검색, 탭 기능까지 제공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고려사항
클립보드 관리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는 보안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해요.
민감한 데이터의 노출 위험
- 원격 제어나 클립보드를 클라우드와 동기화하는 환경에서는 비밀번호 등 민감한 정보가 노출될 수 있는 위험이 있어요.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중에 복사된 비밀번호가 남아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 있었어요.
- Bitwarden 같은 암호 관리자에서 “클립보드 비우기” 기능을 사용해도, 히스토리 기능이 켜져 있다면 복사 내용이 계속 저장될 수 있다는 이야기도 있어요.
자동 삭제 또는 시간 기반 비우기 기능
- KeePass는 복사된 비밀번호를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클립보드에서 제거하도록 설정할 수 있어요.
- 일반적인 클립보드 사용 환경에서는, 클립보드에 있는 내용을 읽기 위해서는 악성코드가 활성화되어 있어야 하므로, 그 자체로 큰 공격 벡터가 되진 않지만, 이미 시스템에 악성코드가 있다면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요.
타사 앱 및 클라우드 동기화 주의
- Clipboard History Pro 같은 앱은 클라우드 동기화 기능이 있지만, 데이터가 제3자 서버로 전송되는 만큼, 암호화 및 정책을 꼼꼼히 확인해야 해요.
6. 자주 묻는 질문(FAQ)
클립보드에 저장된 내용은 얼마나 오래 남아 있나요?
클립보드에 복사된 내용은 운영체제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른 내용을 복사하기 전까지, 혹은 기기를 재시작하기 전까지 남아 있어요. 예를 들면:
- 윈도우에서는 클립보드 기록 기능을 켜면 최대 25개 항목을 저장하지만, 고정(pin)하지 않은 항목은 오래 남지 않고, 컴퓨터를 재시작하면 사라져요.
- 일반적인 시스템에서는 새로 복사하면 이전 내용이 덮어써져서 기록이 사라지고, RAM에 저장되기 때문에 시스템을 껐다 켜면 흔적도 사라진답니다.
-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도 마찬가지로 마지막 복사 항목 하나만 유지하고, 특별히 저장하거나 기록하지 않으면 새 복사나 재부팅으로 사라져요.
요약하자면, 클립보드의 내용은 덮어쓰이거나 시스템이 종료될 때까지 남아 있는 임시 공간입니다.
클립보드 내용을 완전히 지우는 방법은?
클립보드 내용을 깔끔하게 지우고 싶을 땐, 사용 중인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방법을 쓰면 돼요.
- 윈도우에서는 Win + V를 누른 후 ‘모두 지우기(Clear all)’ 버튼을 누르거나, 설정에서 ‘클리어(Clear)’를 선택하면 기록이 사라져요. 단, 핀(Pin)된 항목은 유지돼요.
- Office 앱(예: Word)에서는 클립보드 창을 열고, 개별 항목 옆의 화살표를 눌러 삭제하거나 ‘Clear All’로 한 번에 지울 수 있어요.
- 암호 관리자(BITWARDEN, KeePass 등)를 사용한다면, 복사된 비밀번호를 일정 시간 후 자동으로 클립보드에서 지우는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 안전해요.
보안상 클립보드를 관리해야 하는 이유는?
클립보드는 복사된 모든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민감한 정보를 포함할 경우 보안 위험이 커질 수 있어요.
- 클립보드 히스토리를 켜면 비밀번호나 개인 정보가 다른 기기나 사용자에게 유출될 수 있어요.
- 클립보드를 기록하거나 동기화하는 서드파티 앱을 사용할 때는 암호화 여부와 개인정보 정책을 꼼꼼히 확인해야 해요.
- 특히, 암호 관리 프로그램에서 기본 설정이 ‘클립보드를 절대 지우지 않음(Never)’으로 되어 있다면, 이는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있어요. 이를 짧은 시간(예: 1분) 후 자동 삭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권장돼요.
- 또, 암호를 복사할 때는 가능하면 클립보드를 거치지 않고 직접 입력하거나 자동 입력(autotype)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안전해요.
클립보드는 아주 유용하지만, 동시에 꼼꼼하게 관리하지 않으면 보안의 구멍이 될 수 있어요!
윈도우 화면 캡처 단축키
목차1.윈도우 화면 캡처 기본 단축키2.윈도우 키 조합을 활용한 화면 캡처3.캡처 이미지 저장 위치와 확인 방법4.캡처 도구와 캡처 및 스케치 활용5.화면 캡처 시 유용한 팁자주 묻는 질문(FAQ)1.윈
breez.kimsinfo.info
계란찜 전자렌지로 하는 방법
목차1.전자레인지 계란찜 소개2.준비 재료와 도구3.기본 전자레인지 계란찜 레시피4.맛있게 만드는 꿀팁5.응용 레시피6.자주 하는 실수와 해결 방법7.보관과 재가열 방법8.자주 묻는 질문(FAQ)1.전
breez.kimsinfo.info